개발용 노트북으로 맥북을 받아서 맥북에 개발환경을 세팅
1. Homebrew 설치
터미널에서 실행
$ /bin/bash -c "$(curl -fsSL https://raw.githubusercontent.com/Homebrew/install/HEAD/install.sh)"
경로 패스에 등록
echo >> /Users/iminsu/.zprofile
echo 'eval "$(/opt/homebrew/bin/brew shellenv)"' >> /Users/iminsu/.zprofile
eval "$(/opt/homebrew/bin/brew shellenv)"
설치 확인
brew --version
2. nvm 설치
brew install nvm
환경 변수 등록 / zsh 셸 사용 시 (macOS 기본)
echo 'export NVM_DIR="$HOME/.nvm"' >> ~/.zshrc
echo 'source $(brew --prefix nvm)/nvm.sh' >> ~/.zshrc
source ~/.zshrc
bash 셸 사용 시
echo 'export NVM_DIR="$HOME/.nvm"' >> ~/.bash_profile
echo 'source $(brew --prefix nvm)/nvm.sh' >> ~/.bash_profile
source ~/.bash_profile
3. node 설치
설치 가능한 node 버전 확인
nvm ls-remote
설치
nvm install v20.18.0
node -v
npm -v
4. 프로젝트 clone
이전 노트북(windows)에서 ssh키를 회사 계정으로 생성하고 깃허브 회사 계정 ssh키에 등록해두어서 맥북에도 같은 ssh키 파일을 저장해줘야함
1. 이전 노트북에서 C드라이브 - 사용자 - .ssh 에 ssh 키 파일들이 저장되어 있음
2. 파일을 이메일이나 usb에 저장
3. 키 파일을 맥북에 저장
맥북 .ssh 생성
mkdir -p ~/.ssh
chmod 700 ~/.ssh
다운로드에 받아둔 키 파일을 .ssh로 복사
cp ~/Downloads/id_ed25519 ~/.ssh/
cp ~/Downloads/id_ed25519.pub ~/.ssh/
ssh 키 파일 권한 설정
chmod 600 ~/.ssh/id_ed25519
chmod 644 ~/.ssh/id_ed25519.pub
이제 깃허브에서 정상적으로 clone
4. docker 설치
"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,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."
'macOS :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DU] Springboot, DBeaver (1) | 2025.05.30 |
---|---|
맥북 터미널 세팅 (1) | 2025.05.29 |